JavaScript
-
9.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ThisJavaScript/3주차-데이터타입, 실행컨텍스트, this 2023. 5. 26. 17:12
다양한 상황에서 다른 의미를 가진 This 실행 컨텍스트. 실행할 코드에 제공활 환경정보를 모아놓은 객체. - 그 객체 안에는 3가지가 존재한다. ✓ VariableEnvironment ✓ LexicalEnvironment ✓ ThisBindings 런타임 : 코드가 들어가는 그 시간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두가지 환경이 있다. 1.노드(node.js) 2. 브라우저 전역 환경에서 this는 => 노드에서는 global 객체이고, 브라우저에서는 Window 객체이다. 함수와 메소드 : 함수는 스스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, 메소드는 항상 종속적이다. 어떤 객체가 메소드를 시켜줘야 한다. 함수 : this가 전역개체이고, 메소드는 this가 호출의 주체이다. case1. 함수 호출 주체를 명시할 수 없기 ..
-
JavaScript 09. 자바스크립트 - 지역변수JavaScript/1주차-JavaScript 문법 2023. 5. 26. 16:00
스코프, 전역변수, 지역변수, 화살표함수 스코프(scope): 변수(x)의 영향범위. 범수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수 있는가 전역변수 : 스코프가 전체 영역에서 영향을 끼칠 경우 지역변수 : 스코프가 함수 내에서만 영향을 끼칠 경우 let x = 10; 이 함수 function의 내부에서 선언되어있으므로 함수 내부에서만 영향을 미치므로 지역변수 function printX(){ let x = 10; console.log(x); } console.log(x); printX;
-
JavaScript 08. 자바스크립트 - 전역변수JavaScript/1주차-JavaScript 문법 2023. 5. 26. 14:00
스코프, 전역변수, 지역변수, 화살표함수 스코프(scope): 변수(x)의 영향범위. 범수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수 있는가 전역변수 : 스코프가 전체 영역에서 영향을 끼칠 경우 지역변수 : 스코프가 함수 내에서만 영향을 끼칠 경우 let x = 10; 이 함수 function의 외부에서 선언되어있으므로 전체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역변수 let x = 10; let x = 10; function printX() { console.log(x); } console.log(x); printX();
-
JavaScript 07. 자바스크립트 - 함수JavaScript/1주차-JavaScript 문법 2023. 5. 26. 12:00
JavaScript 함수 함수 (function)라는 뜻은 어떤 기능을 의미함 (input, output을 갖고있는 어떤 기능의 단위.) 입력(input)은 매개변수값으로, 출력(output)은 return값으로 함 함수는 크게 1.함수 선언문 형태, 2. 함수 표현식 형태 두 가지가 있다. 1. 함수의 형태 // 1. 함수 선언문 형태 (function declaration) function add (매개변수input) { //함수 내부에서 실행할 로직(Main Logic) } function add(x, y) { return x + y; } console.log(add(2, 3)); // 5 위의 예제에서는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하여 add라는 함수를 선언하였다. 함수 선언문을 사용하면 함수를..
-
JavaScript 06. 자바스크립트 - 연산자JavaScript/1주차-JavaScript 문법 2023. 5. 26. 10:00
JavaScript 1. 더하기 연산자 (문자열 우선시) console.log(1 + 1); → 2 console.log(1 + "1"); → 11 2. 빼기 연산자 (숫자열 우선시) console.log(1 - "2"); → -1 console.log(1 - 2); → -1 3. 곱하기 연산자 (숫자열 우선시) console.log(2 * 3); → 6 console.log("2" * 3); → 6 4. 나누기 연산자 (숫자열 우선시) console.log("4" / 2); → 2 console.log(4 / 2); → 2 5. 나누기 연산자(/) vs 나머지 (나누고 나서 몫을 뺀 나머지) 연산자(%) console.log(5 / 2); → 2.5 console.log(5 % 2); → 1 (5를 2..
-
8.Outer Environment Reference (3주차 -9)JavaScript/3주차-데이터타입, 실행컨텍스트, this 2023. 5. 26. 09:08
Outer Environment Reference (=outer) 스코프 : 식별자에 대한 유효범위를 의미, 변수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것 스코프 체인 : 식별자의 유효범위를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차례로 검색해나가는 outer는 현재 호출된 함수가 선언될 당시(이 말이 중요해요!)의 LexicalEnvironment를 참조해요. 참조한다는 말이 어려우면, 그 당시의 환경 정보를 저장한다. 정보로 이해해도 괜찮습니다. 예를 들어, **A함수 내부에 B함수 선언 → B함수 내부에 C함수 선언(Linked List)**한 경우 어떻게 될까요? 결국 타고, 타고 올라가다 보면 **전역 컨텍스트의 LexicalEnvironment를 참조**하게 됩니다. 항상 outer는 오직 자신이 선언된 시점의 Le..
-
JavaScript 05. 자바스크립트 - 형 변환JavaScript/1주차-JavaScript 문법 2023. 5. 26. 06:00
형 변환 : 형태를 바꾼다. 문자열을 숫자열로, 숫자열을 문자열로 등등. 1. 암시적 형 변환 :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았고, 자동적으로 바뀌는 형 변환 2. 명시적 형 변환 : 개발자가 의도한 형 변환 1. 암시적 형 변환 문자열과 다른 데이터를 더하기(+)를 할 때, 문자열이 항상 우선시된다. 예를들어, let result1 = 1 + "2"; console.log(result1); console.log(typeof result1); 여기에서 숫자열1과 문자열 "2"를 더하면 문자열화되어 typeof는 string으로 나오고, 숫자열1을 문자열로 취급하여 12로 나온다. let result2 = "1" + true; console.log(result2); console.log(typeof result2..